011.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나스 개념잡고 구축하기 [PART8] - 마무리
내 경험과 내 지식 기반임
퀘이사존 채널에서 항상 하는 말을 먼저 쓰고 시작한다.
"반박시! 여러분 말이 맞습니다."
----------------------------------------------------------------------------------------------
이전 포스팅(009~010)에서
Virtual NAS의 구축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제 나스를 샀다고 가정하고
몇가지 차이점과 유용한 기능을 설명한 후
본 주제의 포스팅을 정리하며 마무리하겠다.
보통 실제 나스를 사면
2베이에 하드를 모두 꼽고 사용할 것이다.
하드디스크가 2개가 들어간다.
쉽게 설명하면 건전지를
'직렬'로 쓰면 그만큼 다 쓰는거고
'병렬'로 쓰면 2개를 꼽아도 1개 만큼 쓰는 것이다.
RAID에 설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2T 하드를 2개를 꼽아서
RAID 없이 사용하면
4T의 용량만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2T 하드를 2개 꼽고
RAID를 이용하면
같은 용량의 하드를 포맷팅 잡고
이렇게 '1개의 디스크 오류 해결 기능의 데이터보호'
라는 말이 뜨면서 파티션을 잡고
이렇게 스토리지 상태창에서
50기가가 2개가 잡혔음에도
실제 저장소 할당은 50기가 만큼인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RAID가 꼭 사용 용량을 반토막만 내는 것 인가?
그건 아니다.
시놀로지 자체 RAID(SHR)이 RAID1 또는 2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 같고
용량의 분배법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이론부분에 나오는 RAID 1 ~5 , 1+5, 5+1에 대해
공부해보길 바란다!
그리고 다른 용량의 하드를 꼽아서 사용해본 적은 없으나
이론상 RAID는 같은 용량의 저장장치에서 동작한다.
두 번째는 시놀로지의 DDNS이다.
물론 DDNS는 일반적인 공유기에도 다 지원하며
그리고 가상 NAS에서도 쓸 수 있는 기능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상 NAS는 24/7로 켜둔다고 생각하지 않고
실제 나스는 24/7 켜둔다고 생각하기에
DDNS 기능을 소개해본다.
자신의 집의 공인 IP에 대해
시놀로지 사에서 제공하는 DNS를 Dynamic하게 받아오는 것인데
아무튼 쉽게 설명하면
http://원하는이름.synology.me
가 본인의 집 IP가 주소가 될 수 있다.
이것을 사용하는 예시는 현재 크게 두 가지 정도 생각난다.
1.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이
집에있는 '통신사' 공유기에서 DDNS 설정을 하려 할 때
대부분 스위치모드 or 브릿지모드의 접근권한이나 변경법을 몰라서
DDNS 할당이 안된다.
이럴 때, 같은 IP에 대해 시놀로지를 통해서 DDNS를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2. 두번째는 조금 고급인데
본인의 집에서 웹페이지 서버를 구동 중이라면
이 웹페이지 서버에 대해 '접근 도메인 별' 페이지 관리를 할 수 있다.
톰캣부터 지원하는 기능인 것 같은데 본인은 주로 웹서버로는 HAProxy를 쓴다
쉽게 말해 어떤 서버의 IP를 알아도, IP로는 접근이 안되며
반드시 URL (즉 DNS)로만 접속을 할 수 있게 서버에서 처리를 했는데
그마저도 2개의 DDNS를 통해 각각 따로 페이징 관리를 할 수 있다.
(써놓고도 아마 두 번째는 웬만한 ㅁ1X놈 아니고선 쓸 일 없을 것 같다..)
마무리 및 정리
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실제 NAS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에서는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과 공인/사설 IP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에서는 네트워크의 통신 과정을 차의 이동과정에 빗대어서 설명하였다.
에서는 실제NAS와 가상NAS 그리고 서버맨이 가상 NAS로 사용할 SBC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서는 가상NAS 구축 이전에 Vmware같은 Tool이 제공하는 샌드박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서는 Vmware를 통한 Synology의 해킹버전 Xpenology (헤놀로지) 구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서는 헤놀로지 구축 이후 필수적인 환경설정 세팅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은 어떤 주제의 포스팅을 할 지,
언제 시작할 지,
모두 미정이다..
이상 서버맨의 허접한 주제를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혹시 누군가가 서버맨의
이 장문의 포스팅을 읽고도
NAS서버 구축이나 설정에 대해 모르는게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