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경험과 내 지식 기반임
퀘이사존 채널에서 항상 하는 말을 먼저 쓰고 시작한다.
"반박시! 여러분 말이 맞습니다."
----------------------------------------------------------------------------------------------
NAS라는 주제랑 최대한 멀어지지 않게 써야지...라고 자기최면하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시간에 배운(?) '인터넷과 IP' 개념을 토대로
1. 내 집에있는 Desktop PC에서 네이버에 접속하는 과정
과
2. 내 핸드폰(밖에 있을 때)에서 우리집에 있는 NAS에 접속하는 과정
을
비교해보겠다.
1.
우선 크롬을 킨다.
크롬 주소창에 naver.com 을 치고 엔터 친다.
네이버 창이 뜬다.
이 과정을 필자의 매우 주관적인 도식도로 그려보겠다.
거의 모든 접속은 사실상 이 그림과 거의 유사할 것이다.
집에서는 먼저 공유기를 타고(또는 직접적인 통신사 모뎀) 그 후에 자신이 쓰고 있는 통신사 ISP를 거쳐서
일단 이 1번 지문에서는 네이버서버와 우리집은 다른 ISP를 쓴다 가정하고 (당연하지 네이버가 싸구려 헬로비전 쓰겠냐)
IXP라는 것을 거친다(대부분, 보통).
IXP라는 건 쉽게말해 수많은 ISP들을 연결해주는 라우터의 끝부분에 위치한 녀석들이다.
엔드포인트 라우터, 브릿지 라우터 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다시 네이버 서버가 쓰고있는 ISP를 타고 네이버 서버가 쓰고있는 라우터를 들어가서 최종적으로 네이버 서버에게 들어간다.
이 과정은 마치 자동차를 타고 어딘가 목적지로 가는 과정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차를 타고 갈 때도 내비게이션이 최선의 길(최단 거리, 최속 거리)을 알려 줄 것이고 대부분은 그것을 따라 간다.
이때 이 과정에서 길을 알려주는 것은 공유기나, 라우터, 모뎀(사실 통틀어서 그냥 셋 다 '라우터'라고 부른다)에 들어있는 다음 라우터로 가는 매핑된 테이블 값을 보고 그 길대로 알려준다.
Fig1에서의 문제점은 매핑된 테이블 값대로 보고 다음 라우터로 넘어간다는 것은,
거의 항상 대부분 고정된 길로 간다.
차의 속도(인터넷 속도==돈많이주고 비싼 회선 쓰는것)는 돈으로 찍어 누를 수 있어도 길의 문제는 다르다.
그 길에 많은 차가 있다고 생각해보자(어어? 최근 )어디서 많이 나오는 이슈의 냄새가??!
아무리 빠른 차라도 병목현상이 생긴다.
그래서 여기서 잠깐 알고가면 좋은 개념이
SDN이다.
소프트웨어 디파인 네트워크의 약자로써,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어부, 어플리케이션부, 인프라 부로 나누는데
...(야)
...(설명하지마라)
아마 설명듣기 싫겠지. 빠르게 넘어가자
한마디로 기존에는 고정된 길로 간다면
앞으로는 이 SDN을 통해서 모뎀 내에 들어있는 테이블 값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환시켜서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더 좋은 최적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예전부터 있던 개념이지만 5G 시대, 더 나아가 6G 시대에 크게 떠오르는 기술이다.
개인적으로 보기엔 SDN, 오프로딩, MEC 분야가 네트워크 연구실에서 핫하지 않나 싶다.(알아서 공부)
사실 포스팅 초반에 쓴
1번과 2번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은 페이크였다.
즉 1번의 과정을 이해한다면
2번의 과정은 당연히 똑같은 원리이고
나아가 내가(컴퓨터가) 어딘가에(서버에) 접속할 때 길을 찾는 과정은
모두 동일 하다(약간의 대동소이 차이).
즉 내가 밖에서 내 핸드폰으로 우리집에 설치한 NAS에 들어오는 것은
Fig1의 그림과 동일하다. (아싸 포스팅 끝)
여기까지 해서 나스의 접속 과정(Flow, Sequence)까지 포스팅을 마쳤다고 생각한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진짜 나스 포스팅의 주제인
물리 나스 구축과
버추얼 나스 구축에 대해 설명해보겠다!!
결론 :
나의 피씨가 네이버 서버에 접속한다는 것은(야 근데 여기 티스토리 블로그야)
인천의 우리집에서 성남의 친구B집에 찾아 가는 것과 거의 원리가 같다.
'내가 아는 것들..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8.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나스 개념잡고 구축하기 [PART5] (1) | 2022.12.28 |
---|---|
007.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나스 개념잡고 구축하기 [PART4] (0) | 2022.12.17 |
005.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나스 개념잡고 구축하기 [PART2] (1) | 2022.11.22 |
004.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나스 개념잡고 구축하기 [PART1] (2) | 2022.11.20 |
003. What program does a self-proclaimed server-man(?) use? [PART 2] (1) | 2022.11.16 |